영암군, 토석 채취장 허가 과정 불법행위 묵인 度 넘어 결탁 의혹 제기

전성진 / 기사승인 : 2014-09-19 17:23:24
  • -
  • +
  • 인쇄
공무원 불법행위 묵인으로 축사가 토석채취장으로 허가 변경

08411.jpg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불법행위를 감시하고 행정지도를 해야 하는 공무원의 불법행위 묵인이 도를 넘어 불법과 결탁하는 행정이 펼쳐지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영암군은 지난 2010년 12월 영암군 미암연 선황리 산 116-3외 2필지 2만 7963㎡에 축사 8800㎡를 짓겠다던 지역민 A씨가 신청한 축사 대수선 허가를 위한 개발행위를 승인했고, 이 과정에서 5만㎥의 토석 반출을 허가했다.


하지만 어찌 된 일인지 4년이 다된 지금까지 축사는 지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토석을 팔아 사업주 배만 불리고, 2번의 연장 허가가 난 뒤에는 아예 토석채취장으로 허가가 변경되면서 애초 5만㎥ 토석 반출은 8만㎥로 증가됐다.


현행법에는 토석채취 허가를 득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산지관리법’의 적용을 받고, 건축물 등 사업을 위한 목적은 느슨한 ‘국토이용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게 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의심이 가는 대목이다.


더구나 처음부터 토석채취를 득하려면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환경영향평가 등 전라남도 심의는 물론이고 인근 주민의 민원발생과 최소 10억 원이 넘는 복구유치금을 확보해야 하는 등 허가신청권자로서는 큰 부담이 된다.


또한, 영암군에서 토석채취로 변경을 허가하게 된 주요인이 애초 5만㎥의 토석량이 채취하다 보니 8만㎥로 늘어 현행법상 5만㎥ 이상일 경우 개발행위 허가로는 토석 반출이 안 돼 토석채취로 허가를 변경했다고 밝혔다.


영암군 담당 공무원들은 “토석을 반출하다 보니 애초 허가인 5만㎥ 이상보다 많은 돌이 나와 석산허가로 변경했다”며 “애초 신청한 개발행위 허가의 연장 여부는 공무원이 판단해 부산물처리가 늦어질 경우 연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초기 물량보다 60% 이상 물량이 늘어난 주원인이 기존 허가는 해발 54.78m 깊이까지 파들어 가는 것이었으나 실제는 49.58m까지 사업주가 불법으로 더 파들어 가 허가된 깊이보다 5.2m를 초과로 늘어난 것이었다.


관련 법대로라면 영암군 공무원은 불법 행위를 적발해 조사 후 검찰에 고발하고, 공사 중지와 원상 복구를 명해야 했다, 그런데 영암군 공무은 불법 행위를 묵인 후 불법행위로 인해 늘어난 물량을 핑계로 사업자의 배를 불리는 토석채취 변경허가를 내 준 것이다.


동종업계 B 씨는 “허가된 면적을 벗어나거나 깊이를 더 파들어 가는 것은 중하게 다스려야 할 불법 행위다”며 “이러한 것을 묵인하고 오히려 사업자의 배를 불려주는 허가로 변경한 것은 엄연한 공무원의 묵인을 넘어선 결탁으로 볼 수 있는 토호세력 비호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통상 토석채취를 받기 위해서는 전문회사에 위탁하는 위탁비만 수억 원이 들고, 관련법과 민원 해결, 그리고 복구담보금 등 수십억 원 이상 돈이 없으면 사업 자체를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