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23일, 불거진 농심 등의 일부 라면스프에 발암물질로 알려진 '벤조피렌'이 들어있다는 일부 지적에 대한 식품안전청의 공식 입장이었다. 식약청은 "이 정도는 수프 원료인 가다랑어를 훈제 가공하는 과정에서 자연발생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도 했었다.
농심 측도 "지난 6월 문제가 제기돼 관련 제품을 외부 공인 기관에 의뢰한 결과, 불검출로 나타났다. 지난 6월 식약청의 통보를 받고 생산공정을 2개월간 멈추고 원료와 조미료 납품업체를 바꿨다"고 주장했다.
문제의 벤조피렌은 고온으로 식품을 조리·제조하는 과정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 등이 불완전 연소되는 경우 생성되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식약청은 이틀 뒤인 25일에는 농심 라면의 해당 제품(너구리)에 대해 회수 결정을 내렸다. 식약청은 해당 제품 전량에 대해 회수 명령을 내리기로 방침을 정하고 구체적인 회수 계획 방침까지 세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농심 측은 "세계 80여개국에 해당 제품을 수출하고 있지만 이 문제가 거론된 적은 한 번도 없다. 이미 홈페이지에서 설명했듯 실제로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농심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누리꾼들을 포함한 일부 시민들은 식약청과 농심을 싸잡아 비난하고 있다.
누리꾼 power***은 "식약청 말을 믿어야 하나, 아니면 농심 측의 말을 믿어야 하느냐"며 "소량이라고 하더라도 문제가 있으니 식약청에서 회수 명령을 내린 게 아니냐"고 날을 세웠다.
다른 누리꾼은 "식약청은 도대체 누굴 위해 존재하는 것이냐? 농심을 위해? 아니면 국민을 위해?"라며 개탄했다. 그러면서 "믿을만한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국민들을 상대로 발암물질이 든 제품을 판매한다는 점 자체가 놀랍다"고 비꼬기도 했다.
식약청의 검사 결과의 번복 논란과 대기업의 기업윤리가 동시에 맞물리면서 이번 농심 발암물질 사태를 둘러싼 식약청과 농심가(家)의 파장은 한 동안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