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전성진 기자]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이 정년 60세가 법제화된 이후 임금 체계를 개편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규모 사업장은 주로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반면 소규모 사업장은 기본급 체계를 개편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5인 이상 기업 227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정년 60세 법제화(2013년) 이후 인사·임금제도 변화 실태조사’ 결과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임금체계 개편을 실시한 기업이 67.7%에 달했다고 19일 밝혔다.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이 79.1%, 300인 미만 기업은 63.1%로 대규모 사업장의 개편 비율이 더 높았다.
임금체계 개편 방식도 기업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300인 이상 기업은 ‘임금피크제 도입’이 52.2%로 절반을 넘었고 ‘인센티브 도입·확대’(31.3%), ‘기본급 체계 개선’(28.4) 순이었다.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은 ‘기본급 체계 개선’이 35.6%로 가장 많고, 이어 ‘인센티브 도입·확대’(23.1%), ‘임금피크제 도입’(22.5%) 순이었다.
임금 체계 개편을 위해 300인 이상 기업은 임금피크제(52.2%)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300인 미만 기업은 기본급 체계를 개편(35.6%)하고 인센티브 도입을 확대(23.1%)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