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임종룡 금융위원장 [출처=연합뉴스TV]
[데일리매거진=천선희 기자] "올해 하반기는 그 어느 때보다 우리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져 대내외 환경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일 금융감독원 통의동 연수원에서 열린 '제5차 금융개혁 추진위원회'에서 임 위원장은 ""우리 시장도 브렉시트의 영향을 받았지만 지금은 안정적 모습을 찾아가는 상황"이라며 "다만, 브렉시트는 최초의 유럽연합(EU) 탈퇴 사례라 앞으로의 상황 전개에 불확실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브렉시트 외에도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 불확실성, 중국의 저성장과 구조개혁, 저유가에 따른 디플레이션 등으로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며 "국내도 수출감소, 저물가가 지속되고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구조적 요인에 의한 잠재성장률 둔화 우려도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이럴 때 일수록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보다 공고히 하면서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일관되고 지속적인 금융개혁을 통해 우리 금융과 자본시장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강화해 금융업이 실물경제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하고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금융산업이 튼튼히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금융시스템 안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정부는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해 긴 호흡으로 차분하게 준비해 나가는 한편 당면한 금융시장 상황에 대해서는 보다 치밀하게 분석하여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임 위원장은 "정부는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해 긴 호흡으로 차분하게 준비하며 금융위·금감원 합동 '비상금융상황대응팀'을 통해 24시간 국내외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라며 "금융시장에 과도한 변동성 발생 시에는 이전에 마련된 위기대응계획에 따라 단계적인 시장안정조치를 즉각 시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가계부채 관리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그는 "가계·기업부채 등 국내 리스크 요인에 대해서도 대외요인과 결합하여 시장불안을 증폭시키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를 통해 △회사채시장 인프라 개선 및 기업 자금조달 지원 방안 △금융소비자보호 기본법 제정방향 △금융투자의 자기책임 원칙 확립 방안 △은행권 계좌통합관리서비스 도입방안 △금융거래 서식 및 이용절차 합리화 방향 등의 논의가 오갔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