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정부는 내년 일자리 예산으로 사상 최대 규모인 23조5000억원을 편성했다.
기획재정부가 28일 발표한 ‘2019년 예산안’을 보면 정부의 내년 일자리 예산은 사상 최대 수준인 23조5,000억원으로 편성됐다. 올해보다 22%로 증액한 규모로 역대급 증가율이다.
정부는 내년에 3조 7천 666억원을 노인과 여성, 장애인, 지역청년 등 취업 취약계층 일자리 90만개 이상을 만드는 데 직접 투입해 일할 기회를 제공한다.
일자리 83만 2천개 창출을 목표로 올해 투입했던 직접일자리예산(3조 1천 961억원)보다 5천 705억원 늘어난 규모다.
먼저 청년일자리 창출올 위해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 이어 내년 예산안에서 중소·중견기업에 취업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청년 내일채움공제(11만명→23만명)나 재직자 내일채움공제(4만명→9만명)를 확대한다.
또 중소·중견기업이 정규직 1명을 신규채용할 경우 연봉의 3분의 1 수준인 90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추가고용장려금(9만명→18만8,000명)을 늘린다.
5060세대인 신중년 구직자를 박물관 해설사나 출판 전문가 등 특정 직무에 채용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정부가 지원금을 주는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지원 대상은 올해 2천명에서 3천명으로 늘리고, 내년에는 5천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신중년은 50세를 전후로 퇴직해 재취업 등을 하며 노동시장 은퇴를 준비하는 과도기 세대로, 5060 세대로도 불린다. 작년 기준으로 1천378만명으로, 생산가능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