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 소비자물가, 4년 3개월만에 최대폭↑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17-02-02 10:30:20
  • -
  • +
  • 인쇄
전세ㆍ월세 각각 2.9%, 0.3% 상승
201504241640569079.jpg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4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2% 상승했다.

통상 0~1% 수준에서 오가던 물가 상승률이 이처럼 급등한 것은 2012년 10월(2.1%) 이후 4년3개월 만이다.

조류 인플루엔자(AI)로 '달걀 대란' 여파가 반영되면서 농·축·수산물 물가가 뛰었고 유가 반등에 따라 석유화학제품이 올랐기 때문이다.

달걀 외에도 무(113.0%), 배추(78.8%), 당근(125.3%) 등 이 급등세를 보였다.

과일과 어류 등 신선식품 물가는 12.0% 상승했다. 이 중 신선채소와 신선과실은 각각 17.8%, 9.6% 늘었다.

뿐만 아니다. 식료품·비주류음료(5.3%), 교통(3.8%), 음식·숙박(2.2%), 오락·문화(2.4%), 교육(1.4%), 의류·신발(1.3%), 보건(1.1%), 통신(0.8%) 등 줄줄이 올랐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도 전년보다 2.3% 상승했다. 전세와 월세는 각각 2.9%, 0.3% 상승했다.

기름 값도 휘발유·경유가 각각 8.9%, 12.2% 올랐다. 더욱이 산유국들의 감산 소식 등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2% 오르면서 향후 소비자물가는 더욱 요동칠 전망이다.

유수영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향후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 흐름 감안시 에너지 가격 기저효과 축소에 따른 단기적 하향 조정을 거친 후 1% 후반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다만 기상여건 악화, OPEC 감산합의 이행상황 등에 따른 물가 상하방 요인이 상존한다”고 설명했다.

유 과장은 “매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어 물가안정대책(물가관계장관회의)의 추진상황을 지속 점검할 것”이라면서 “농축산물 등 주요품목의 가격안정노력을 강화하고 소비자단체와 함께 가공식품 등의 불합리한 편승인상을 억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