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ㆍ금리 상승 가능성에 부동산 시장 '긴장 고조'…주택시장 침체 불가피

소태영 / 기사승인 : 2016-12-19 10:04:32
  • -
  • +
  • 인쇄
집값 하락시 역전세난 발생 가능

5001.JPG


[데일리매거진=소태영 기자] 가계 부채와 금리 인상 가능성에 국내 부동산시장이 긴장하고 있다.


정부의 대출 규제로 시중은행들이 일제히 대출금리를 올린 상황에서 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 부동산시장 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19일 부동산업계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내년 주택시장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청약시장 규제를 강화한 11·3 부동산 대책으로 분양시장뿐 아니라 주택시장 전반이 차츰 안정을 찾아가지만 8·25 가계부채 대책 후속 조치 등 다양한 금융 규제 정책까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해 시장이 급속히 얼어붙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올해는 강남 재건축 단지를 시작으로 주택시장이 호황을 맞았다. 하지만 11·3 대책 이후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서울은 3주 연속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특히 강남3구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6주 연속 떨어져 하락세를 주도하고 있다. 전세가격도 상승 폭이 둔화하며 안정화하는 모양새다.


여기에 주택 공급 과잉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년부터 2년간 78만여 가구에 달하는 입주 물량이 쏟아진다. 내년 37만여 가구, 2018년 41만여 가구다. 내년만도 역대 최대치인 1999년 36만9541가구를 넘어선다. 입주 물량이 적었던 2012년 17만9031가구와 비교하면 배가 넘는다.


주택이 과잉 공급하면 집값은 자연스럽게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수도권보다 지방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집값이 하락하면 전셋값도 떨어지고 지역에 따라 역전세난이 발생할 수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내년은 저성장 기조 속에 주택 공급 과잉과 금리 인상 가능성 등이 혼재해 거래량이 줄고 집값과 전셋값은 약보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그간 국내 주택시장은 저금리 유동자금이 떠받치고 있던 측면이 있는데 금리가 오르면 그런 것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당장 금리가 급격히 오르진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금융 부담이 커져 가처분 소득이 줄고 주택시장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