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데일리매거진=김광용 기자]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구조조정 지연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8일 오전 서울 광화문 정부청사에서 열린 '제4차 경제현안점검회의'에서 유일호 부총리는 최근 발표된 대기업,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상시 구조조정 추진 현황을 논의했다.
유 부총리는 "기업이 구조조정을 지연할 경우 주채권은행은 신규 여신을 중단하거나 만기 시 연신을 회수, 여신한도 및 금리 변경 등 필요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6일 금융감독원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용위험평가 결과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미만 기업인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완료한 결과 2035개사 중 176개 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부실징후기업에 해당하지만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 선정을 받은 곳은 71개, 경영정상화가 어려워 워크아웃을 진행해야 하는 D등급 기업은 105개다.
지난 8월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 부실징후 대기업은 32개로 선정됐다. 이중 24개 기업은 경영정상화 과정을 밟고 있으며 8개 기업은 채권은행이 여신관리 등 후속조치를 적극 추진 중이다.
유 부총리는 "금감원을 중심으로 부실징후 기업들의 구조조정 진행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기업 구조조정을 신속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