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혁연대 "이재용 부회장, 삼성重 실권주 처리 입장 밝혀야"

우태섭 / 기사승인 : 2016-08-24 16:55:43
  • -
  • +
  • 인쇄
"현재 지분율 이상으로 유상증자에 참여해서는 안된다"

[데일리매거진=우태섭 기자] 경제개혁연대는 지난 23일 삼성중공업 유상증자와 관련한 논평을 내고 "삼성 이재용 부회장은 삼성중공업 실권주 처리에 대한 입장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경제개혁연대는 이날 논평을 통해 "삼성중공업의 이번 유상증자는 자기주식 11.25%를 제외하고 65%를 차지하는 일반 주주들이 얼마나 참여하는지에 따라 성패가 갈리게 된다"면서 "삼성 측의 기대와 달리 일반주주들의 참여율이 낮아 실권주가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면 이를 누가 인수할지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삼성중공업 유상증자가 성공하지 못할 경우 실권주 인수 등의 책임은 전적으로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한 총수일가가 감당해야 할 것"이라며 "삼성전자 등 삼성중공업의 주주계열사들이 초과청약이나 실권주 일반공모 등을 통해 현재 지분율 이상으로 유상증자에 참여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경제개혁연대는 "삼성중공업이 내놓은 자구계획에는 자산 매각과 인력 감축 외에 총수일가가 책임을 지는 부분이 전혀 없다"면서 "유상증자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면 총수일가가 주도적으로 나서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실경영 책임은 의사결정을 한 자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동안 삼성중공업이 내놓은 자구계획에는 자산 매각과 인력 감축 외에 총수일가가 책임을 지는 부분이 전혀 없다.


또한, 유상증자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면 총수일가가 주도적으로 나서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인데, 이재용 부회장 등은 오히려 한 발짝 물러나 있다. 계열사들이 실권주를 나누어 인수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삼성중공업은 올 상반기 단 한 척도 신규 수주를 못했고 조만간 상황이 나아질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채권은행들이 운전자금 공급마저 주저하는 상황에서 사실상 최후 수단으로 유상증자를 실시하고 있다"며 "이 부회장이 비켜 서 있다는 것은 도덕적 해이에 다름 아니다"고 주장했다.


경제개혁연대는 "유상증자가 성공하지 못해 삼성전자 등 주주 계열사들이 현재 지분율 이상으로 유상증자에 참여하게 된다면 이는 삼성중공업 부실을 다른 계열사 외부 주주들에게 전가하는 것"이라며 "해당 계열사에서 이를 결정한 이사들은 배임 등 법적 책임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재 삼성중공업은 삼성전자(17.62%), 삼성생명(3.39%), 삼성전기(2.39%), 삼성SDI(0.42%), 삼성물산(0.13%), 제일기획(0.13%) 등 6개 계열사가 24.0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이재용 부회장 등 총수일가는 전혀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작년 말 삼성엔지니어링 유상증자 당시 이재용 부회장이 실권주 인수 계획을 미리 밝혔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증자 참여 문제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이에 따라 실권주가 발생할 경우 이재용 부회장의 유상증자 참여 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