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시내 대형마트 [제공/연합뉴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년 6개월 만에 4.8%까지 올랐다.
통계청은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8%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4.8%는 물가 거품이 심각했던 금융위기 직전(2008년 10월) 수준을 의미한다. 그만큼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도 5.7% 올랐다. 역시 2008년 8월(6.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 가격이 1년 전보다 34.4% 뛰어올라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특히 서민의 연료인 경유 가격이 42.4%나 급등했다. 휘발유(28.5%)와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29.3%) 가격도 크게 올랐다.
빵(9.1%)을 비롯한 가공식품 가격도 7.2% 올랐다.
이에 따라 석유류와 가공식품을 포함한 공업제품(7.8%) 물가는 2008년 10월(9.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유류나 빵 등 품목의 가격 상승은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다. 국제유가와 곡물가격이 오르면서 이런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도 타격을 입는 것이다.
두 가지 모두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변수라는 점이 문제다.
공공서비스 가격도 치솟았다. 지난달 국제유가에 연동되는 기준연료비가 인상되면서 전기료가 11.0% 올랐고, 일부 지자체가 가스 요금을 올린 영향으로 도시가스(2.9%)도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는 일종의 원재료 성격인 만큼 다른 상품·서비스의 추가적인 가격 상승을 이끌게 된다.
![]() |
▲ 소비자물가 추이 [제공/연합뉴스]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